1.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의 발전방향과 산업별 적용방안
- 디지털 트윈의 발전방향과 가치
- 디지털 트윈 시스템 개발 workflow 소개 및 응용 사례
-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3차원 공간정보 시스템 구축방안
- CPS와 디지털 트윈의 개념정의, 현황 그리고 발전 방향
- 디지털 트윈의 스마트시티 적용사례 - 싱가폴 구축 적용사례 중심으로 -
- 디지털 트윈의 스마트 제조(스마트공장) 적용사례와 제품생산을 위한 최적화 방안
- 디지털 트윈 BIM 모델 생성과 시공 정합성 검증 기술
2. AI 기반의 지능형 로보틱 프로세서 자동화 (RPA) 도입과 컨택센터 구축방안
♧ Next Generation RPA 도입 및 챗봇 연계
♧ AI 기반의 화자인증 솔루션을 이용한 컨택센터 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제공방안
♧ 클라우드 기반 채팅상담 & 챗봇 솔루션 운영과 업종별 서비스 제공방안
♧ 엣지 컴퓨팅 (Edge Computing) 기반의 한국형 RPA 솔루션 개발과 구축사례
♧ [은행/금융]
은행/보험/금융 부문 RPA 도입과 구축사례
♧ [사무자동화/업무프로세스 개선]
사무자동화/업무프로세스 개선 부문 RPA 도입과 구축사례
♧ [의료/스마트헬스]
병원/의료 부문 RPA 도입과 챗봇 구축사례
♧ [물류/유통, 생산/제조]
물류/유통 부문 RPA 도입과 챗봇 구축사례 - Digital Transformation 시대의 AI가상비서 솔루션 -
3. 5G 기반의 AI 로봇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분야별 서비스 로봇의 상용화 방안
♧ AI 기반의 스마트 제조 로봇 개발과 로봇비전 기술 적용방안
- 3차원 시각 인식, 사물분류 및 추척 -
♧ 5G/AI 기반의 자율주행 로봇을 위한 융합기술과 배송 로봇 개발을 위한 상용화 방안
- 5G 기반의 로봇 자율주행 융합기술 -- 로봇 플랫폼을 활용한 실외 배송 서비스 -
♧ I 챗봇/로보어드바이저(금융,핀테크) 개발과 산업별 적용현황
- 자연어 처리, 의미분석, 질의응답 -
♧ AI 기반의 의료용 헬스케어/간병 로봇 상용화와 시험인증 활용방안
♧ AI 기반의 홈(가정용) 서비스 로봇 개발과 적용분야
♧ AI 기반 사회적 인간로봇상호작용(HRI) 기술과 적용방안
♧ 지능형 로봇의 국제 표준(ISO TC 299)과 성능 및 안전성 기준 산업별 적용방안
'언택트(untact)' 산업을 통한 새로운 소비/유통 패러다임의 변화와 비지니스 창출방안
- ´언택트(untact)´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플랫폼 개발과 사용자 맞춤형 AI 대화 엔진 적용방안
- AI 키오스크, 클라우드 챗봇 -
- ´언택트(untact)´ 출입 솔루션 (딥러닝 기반 안면인식) 개발과 적용방안
- 비대면 시대, 언택트 서비스 운영을 위한 RPA 도입과 고려사항
- [웹기반 화상회의/비즈니스 VOD 부문] ˝언택트(untact) 서비스˝ 도입 및 운영상의 고려사항
- [운송/물류 부문] ˝언택트(untact) 서비스 ˝ 도입 및 운영상의 고려사항
- [병원/의료 부문] ˝언택트(untact) 서비스˝ 도입 및 운영상의 고려사항
- [유통/리테일 부문] ˝언택트(untact) 서비스˝ 도입 및 운영상의 고려사항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1274호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77 서울숲IT밸리 1313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