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소 전 주기 플랫폼/플랜트 구축을 위한 부품/소재 개발기술 및 국산화 방안
- 기술 및 경제성 분석을 통한 수전해 수소 전망과 수전해 부품 국산화 방안
- 유무기 수소화물 기반 대용량 장거리 수소 저장 및 운송 전략과 국내외 기술개발방향
- 수소저장과 이송을 위한 수소운반선박 개발과 기반 시설 구축방안
- 고효율 저비용 수소 생산을 위한 개질촉매 소재 및 제조기술과 상용화 방안
- DME, 메탄과 메탄올에서 수소생산 기술개발과 사업화
- 안전한 수소저장을 위한 초고압 밸브(고압밸브/제어밸브) 개발 기술과 사업화 방안
- 수소 생산/저장/수송 분야 안전기준과 수소관련 제품 안전성 평가 기술
2. 수소 전 주기 플랫폼/플랜트 구축을 위한 부품/소재 개발기술 및 국산화 방안
- 한국형 수소경제 활성화 방향 및 민간으로의 확대
- 민간 수소충전소 구축을 위한 부지선정 및 사업 설계
- 수소 융복합충전소 구축을 위한 정책/제도 현황과 고려사항
- 수소충전소 설계·시공 및 효율적 운영방안
- 초경량 액화수소 저장기술과 액화수소탱크/충전소 구축 및 수출전략
- CNG/LPG 개질 수소제조장치 기술 및 온사이트형 수소충전소 구축방안
- 민간 수소충전소 사업자를 위한 시설 구축비 절감과 경제적 운영방안
- SPC (“하이넷”) 출범에 대한 민간의 기대효과 -
3. 그린수소 및 수소 모빌리티를 통한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
(Co2-free 그린수소 인증, P2G, 수전해 스택, 수소모빌리티 소재/부품, 천연가스 정제.개질)
♧ 수소경제 민간보급 활성화를 위한 상용화 방안
- 수소충전 인프라, 수소모빌리티 육성, 소재/부품 국산화 -
♧ 그린수소 인증제도 및 수소 의무사용제도(RPS) 도입 추진 방안
- 국외 그린수소인증제도 도입사례
- 친환경 Co2-free 수소생산 활성화 방안- RPS 도입에 따른 시장변화
♧ 한국판 그린 뉴딜 및 수소경제 육성 정책을 통한 산업 활성화 방안
- 그린 뉴딜정책에 따른 에너지 산업의 변화- 수소 모빌리티의 활성화 방안
♧ 해외 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재생에너지 연계형 알칼라인 수전해 국내 기술 수준
- 고안전/고효율 알칼라인 수전해 분리막 기술 현황- 최근 해외 선도국의 알칼라인 수전해 기술 동향 및 국내 기술 수준 비교
♧ 안전한 수소모빌리티(수소전기차)를 위한 수소저장용기 핵심 소재/부품 국산화 개발기술
- 수소 전기차를 위한 핵심 부품.소재 개발 현황- 비용 절감과 경량화를 위한 수소저장용기의 제조 공정 기술
♧ 그린수소 생산을 위한 P2G 개발 및 기대효과와 해외사례
- 국가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및 목표- 그린 수소 비용 및 시장 전망
♧ 바이오가스 정제를 이용한 그린수소 생산기술 및 융.복합 스테이션 개발기술
- 바이오가스 정제기술- 수소전기차 융복합스테이션 국산화 기술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1274호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77 서울숲IT밸리 1313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