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차세대 디스플레이 개발 및 사용화를 위한 심층 기술
2. [Intensive Course]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의 현안과 해결과제
3. 폼팩터 혁신을 통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공정 개발기술
♣ 미래형 자동차 소재/부품 및 인프라 개발기술 (총5권)
1. 민간 전기차 충전 인프라 산업 육성을 위한 서비스 제공과 비지니스 모델 구축방안
2. 미래형 자동차의 고기능, 친환경 부품을 위한 소재 및 공정기술
3. 고기능 탄소섬유 복합재 개발과 산업별 적용방안
4. 스마트 모빌리티를 위한 신규 비지니스 창출방안
5. 고안전/고효율 전기차 개발을 위한 전기차 화재요인 분석 및 배터리 문제점 해결 방안
♣ AI (컴퓨터비전, 인공지능반도체) 기술 (총5권)
1. 차세대 인공지능(AI)의 발전방향과 뉴로모픽(뇌신경 모방)기술을 이용한 인공지능 반도체 개발기술
2. 2020 AI 레볼루션 컨퍼런스 Day 1: 'AI Computing'
3. 2020 AI 레볼루션 컨퍼런스 Day 2: 'AI DL & Vision'
4.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eXplainable AI, XAI] 개발과 산업별 적용방안
5. AI 최신 트렌드 및 이슈 분석
1.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의 발전방향과 산업별 적용방안
2. AI 기반의 지능형 로보틱 프로세서 자동화 (RPA) 도입과 컨택센터 구축방안
3. 5G 기반의 AI 로봇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분야별 서비스 로봇의 상용화 방안
4. 비대면 무인화 시대' '언택트(untact)' 산업을 통한 새로운 소비/유통 패러다임의 변화와 비지니스 창출방안
1. 전고체 전지(Solid-state battery) 소재/공정 기술과 기술향상을 통한 상용화 방안
2.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 현황과 ESS 안전성 확보 및 활용방안
3. 전기차 및 ESS를 위한 차세대 중대형 배터리 개발기술과 상용화 방안
4. 전문가 진단을 통한 ESS 산업 안정화 및 위기관리 솔루션 제공 방안
1. 수소 전 주기 플랫폼/플랜트 구축을 위한 부품/소재 개발기술 및 국산화 방안(생산, 저장, 수송 분야)
2. 수소 전 주기 플랫폼/플랜트 구축을 위한 부품/소재 개발기술 및 국산화 방안(충전 인프라(충전소) 분야)
3. 그린수소 및 수소 모빌리티를 통한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
♣ 수소전기차를 위한 소재.부품. 공정 개발기술 (총4권)
1. 수소연료전지차 개발을 위한 소재부품 개발동향과 제조 공정기술
2. 수소연료전지차(FCEV)를 위한 소재/부품 국산화 및 상용화 방안
3. 수소전기차(FCEV)를 위한 시스템 설계 및 최신 부품/소재 개발 기술
4. 친환경 미래차(수소차.전기차)를 위한 고성능 전장부품 (배터리.부품.소재) 개발 기술
♣ 스마트시티(Smart City) 적용 기술과 구축방안 (총2권)
1. 민간주도의 지속 가능한 혁신 스마트시티 조성방안
2.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시티 구축방안
1. 5G 및 AI 기반의 영상감시 시스템 및 보안관제 서비스 제공방안
2. AI 기반의 보안 관제 솔루션 고도화 기술과 적용방안
1. 5G 기반의 초저지연, 초연결 사회를 위한 클라우드 및 엣지 컴퓨팅(Edge-Computing) 기술과 산업별 적용방안
2. 클라우드/엣지 컴퓨팅을 위한 패러다임의 전환과 효율적 아키텍처 구축방안
1. 시스템 반도체 기술개발과 시장 창출을 위한 산업 분야별 육성전략
2. 고감도/고해상도 영상인식을 위한 이미지 센서 및 최신 광학 기술 적용방안
3. [Intensive Course] 고감도 초박형 이미지센서 개발기술
4. 2020 센서산업 전망과 산업분야별 기술개발
5.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피부(E-skin)를 위한 유연센서(전극)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1. 디지털 제조혁신을 통한 AI 스마트팩토리 구축방안
2. '제조업의 서비스화' AI/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 서비스 구축과 지원솔루션 적용방안
3. 5G 기반의 AI 팩토리 개발과 연계기술 적용방안
4. '디지털 뉴딜' AI 빅데이터 기반의 스마트팩토리 기술 고도화와 디지털 제조 구축 방안
♣ 낱권 (총 2권)
1. 환경오염 (대기.미세먼지/세균.바이러스)에 대한 고효율 정화기술 및 고성능 필터의 최신 기술과 상용화 방안
2. 5G 기반의 초실감 미디어 개발기술과 서비스 제공방안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1274호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77 서울숲IT밸리 1313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