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 | 시간 | 주제 | |
---|---|---|---|
09/07 목 |
DAY 1: | 친환경 패키징 소재 기술 | |
10:00~10:50 | 미래지향형 포장소재를 위한 친환경 플라스틱 연구 및 공정기술 | ||
11:00~11:50 | 천연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친환경 포장소재 개발 및 응용 - 셀룰로스 및 나노 파이버 기능 특성과 응용 - 식품 포장재의 가스 배리어 필름 응용 - 생분해 가능한 식품포장용 투명필름 |
||
12:00~12:50 | 친환경 이슈에 따른 점착라벨 기술개발 동향 - 포장재 재활용성을 향상시킨 점착라벨 솔루션 -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점착라벨 솔루션 및 향후 전망 |
||
14:00~14:50 | 연포장 부문 친환경 기술 및 배리어 기술 동향 - 연포장재의 친환경 기술 개발 동향 및 사례 - 친환경 구현 목적 배리어 포장 소재 개발 동향 |
||
15:00~15:50 | 친환경 패키징을 위한 바이오 플라스틱의 규격 및 시험방법과 인증 - 국내외 바이오플라스틱 규격, 시험방법, 인증 소개 - 탄소중립형 식물체 바이오매스를 적용한 친환경 BP 마크 - 바이오웨이스트(생분해) 인증 마크 |
||
16:00~16:50 | 탈 플라스틱을 위한 종이 포장재 개발과 상품사례 - 종이 포장재의 제품 인증 기준(FSC) - 100% 재생 가능 종이 원료의 개발 |
일자 | 시간 | 주제 | |
---|---|---|---|
09/08 금 | DAY 2: | 바이오(생분해) 플라스틱 원료 및 소재 기술 | |
10:00~10:50 | 생분해 촉매제 및 식물유를 이용한 바이오 플라스틱 개발과 상용화 방안 - 식물체 가소화를 이용한 생분해 촉매제(TGR)개발 - 촉매제를 첨가한 포장재 및 사출품의 제조 기술 - 식물유(식물성 오일)을 이용한 바이오콘 개발 및 상용화 방안 |
||
11:00~11:50 | PHA 기반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기술 개발 및 글로벌 제품화 방안 - PHA 적용 사례 및 제품화 전망 |
||
12:00~12:50 | 농업분야 바이오 플라스틱 적용과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 개발 동향 - 생분해성 수지 원료 생산 - 멀칭필름 제품과 주요 원료 개발 - 멀칭필름 국내,외 인증과 제품 개발 방향 |
||
14:00~14:40 | 미생물을 활용한 플라스틱 분해 기술 및 생분해 인증기준 -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선별 키트 개발 및 응용 - 생분해 인증기관 및 인증기준 |
||
14:40~15:20 | 친환경 범용 바이오 플라스틱 충진소재 개발과 제품 적용방안 - 셀룰로오식 바이오매스 기반의 바이오 필러 개발과 경량 플라스틱 적용 - 리그닌을 활용한 자동차 플라스틱 적용 및 에너지 소재 상업화 |
||
15:40~16:20 | 바이오매스 기반의 생분해 PET 섬유 및 친환경 PET 용기 소재 - 생분해 (polymer 형태) 섬유 생산 공정 - 생분해 섬유의 내구성 및 내열성 확보기술 |
||
16:20~17:00 | 바이오 플라스틱의 글로벌 상품화를 위한 해외 바이오 플라스틱 인증 적합기준 및 인증 절차 - 적합기준 (Industrial 퇴비 조건, home/soil 조건) - 해외(유럽/미국) 인증 기관 및 인증 준비요건(서류) |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중랑-0870호
주소 : 서울 중랑구 신내역로 111 신내SKV1 1211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 긴급문의 (24H) : (카카오톡채널)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검색 후 문의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